본문 바로가기
이슈로 본 관련 주식

유류세 인하, 20%인하 시기와 유류세 구조

by 경자의 꿈 2021. 10. 26.

유류세 인하

11월 12일부터 유류세를 한시적으로 20% 인하하기로 여야가 협의했습니다. 이번 유류세 인하폭은 역대 최고 폭이며 1리터당 160원정도의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최근 국제유가가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휘발유가격이 150원정도 상승했고 이는 우리 국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국제유가가 내려갈 때는 주유가격이 굉장히 천천히 내려가지만 오를 때는 엄청나게 빠르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런 유가 상승은 우리 국민들은 정유사들의 횡포로 받아 들일 수 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유류세 20% 인하에 따라서 실제로 유가가 얼마로 떨어지는지와 유류세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류세의 구조를 알아야 이번 유류세 인하폭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유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주유소별 가격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유류세 종류 

유류세는 교통에너지환경세, 교육세, 주행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주유가격의 10%인 부가가치세를 포함하면 우리가 주유할 때 내는 세금은 총 4종류입니다. 부가가치세의 경우에는 어디서든 내는 가격이기 때문에 사실상 유류세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구분 유류세 구성 세금 (원)
교통에너지환경세 고정값 529
교육세 교통에너지환경세의 15% 79.35
주행세 교통에너지환경세의 26% 137.54

 

유류세의 가장 기본은 교통에너지환경세입니다. 법적으로 주유를 할 때 내야하는 교통에너지환경세는 529원으로 정해져있습니다. 유류세를 20% 인하한다고 하면 바로 이 교통에너지환경세가 줄어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교육세와 주행세는 각각 교통에너지환경세의 15%와 26%로 계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통에너지환경세가 인하되면 자연스럽게 나머지 세금도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유류세 20% 인하시 휘발유 가격

최근 대부분의 주유소 휘발유 가격이 1리터당 1700원 중후반대로 오른 상태입니다. 주유소마다 가격의 차이도 있고 계산의 편의성을 위해서 휘발유 1리터당 가격을 1800원이라고 가정하고 계산해보겠습니다. 

 

구분 유류세 인하 전 (원) 유류세 20% 인하 후 (원)
휘발유 원가 890.5 890.5
교통에너지환경세 529 423.2
교육세 79.35 63.48
주행세 137.54 110
부가가치세 163.6 148.7
인하시 휘발유 가격 1800 1636

 

위의표를 보시면 유류세가 20%인하될 때 휘발유가격은 1리터당 164원이 절감이 됩니다. 1636원이면 최근 유가가 오르기 직전의 휘발유 가격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기존과 동일하게 내려간다고 좋은 소식입니다.

 

그러면 보다 경제적으로 주유를 하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정답은 가격이 저렴한 주유소에서 주유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주유소 가격비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신용카드나 지역화폐를 이용한 주유할인 혜택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드리지 않겠습니다.)

 

주유소 가격비교 홈페이지

 

 

주유소는 개인사업자이기 때문에 주유소마다 가격이 모두 다릅니다. 코로나 시국에 경제적으로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보다 저렴한 주유소를 찾아다니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특히나 차량을 운행해야하는 업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유소 가격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석유공사에서 운영하는 오피넷 홈페이지에 접속해야합니다.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에 본인이 위치한 지역을 검색하면 가장 저렴한 주유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오피넷 - https://www.opinet.co.kr/

 

주유소-가격비교를-할-수-있는-오피넷-홈페이지-화면을-캡쳐한-사진
주유소 가격비교 (오피넷)

 

위의 사진은 오피넷 홈페이지 화면입니다. 위에 보시는 것처럼 오늘의 유가를 시도별 평균으로 볼 수도있고 유가 상승 추이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현재 본인이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싼 주유소를 찾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보다 경제적으로 차량은 운행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유류세 인하와 주유소 가격비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유류세의 구조를 알아야만 주유 가격이 얼마나 줄어드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알아야만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도 동의하거나 비판할 수도있습니다. 지금의 유류가격의 인상은 정부가 아닌 정유사에서 가격을 올렸기 때문입니다. 코로나로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휘발유 가격까지 올라가니 가계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정부의 조치는 매우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댓글